테크놀로지
생분해도 시험 서비스, 친환경 제품 개발의 핵심
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, 플라스틱과 일회용품의 분해 문제가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엘레멘트코리아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국제 규격에 기반한 생분해도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생분해도 시험이란?
생분해도 시험은 퇴비 조건이나 수중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재료의 생분해도(%)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. 이 시험은 환경 친화적 제품 개발과 인증에 필수적인 과정입니다.관련 법령
-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(자원재활용법)
-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(환경기술산업법)
생분해도 분석 대상 제품
- 환경표지인증 대상 제품
- EL724 생분해성 수지제품
- EL766 종량제 쓰레기 봉투
- 생분해 가능한 플라스틱류 제품 및 원료
- 식품용기, 수지원료, 포장재, 쇼핑봉투, 필름 등
생분해도 시험 규격
엘레멘트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생분해도 시험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국제 및 국내 표준 규격을 철저히 준수하여 수행됩니다.- 생분해도 시험: KS M ISO 14855-1 이 표준은 "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호기성 생분해도의 측정 - 방출된 이산화탄소의 분석에 의한 방법"을 규정합니다.
-
-
- 시험 조건: 58±2°C의 퇴비화 조건에서 수행
- 측정 방법: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정량적으로 측정
- 생분해도 계산: 발생한 이산화탄소량을 이론적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
- 시험 기간: 최대 6개월(180일)까지 진행하여 장기적인 생분해 특성 평가
-
- 유해원소 함량: KS M 0032 이 표준은 "고분자 재료 중 납, 카드뮴, 수은 및 6가 크로뮴의 함량 측정 방법"을 규정합니다.
-
-
- 분석 대상 원소: 비소(As), 납(Pb), 카드뮴(Cd), 수은(Hg), 크로뮴(Cr), 구리(Cu), 니켈(Ni), 아연(Zn)
- 시료 전처리: 마이크로웨이브 분해법 또는 산 분해법을 이용한 시료의 완전 분해
- 분석 기기: ICP-OES(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분석기) 또는 ICP-MS(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) 사용
- 정량 한계: ppb(µg/kg) 수준의 고감도 분석 제공
-
- 유해원소 용출량: 기구 및 용기·포장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"기구 및 용기·포장의 기준 및 규격"에 따라 수행됩니다.
-
- 분석 항목: • 납(Pb): 원자흡광광도법 또는 유도결합플라즈마발광광도법으로 분석 • 과망간산칼륨소비량: 적정법을 이용한 유기물 용출량 평가 • 비소(As): 원자흡광광도법 또는 유도결합플라즈마발광광도법으로 분석 • 폼알데하이드: 아세틸아세톤법 또는 페닐히드라진법으로 분석 • 형광증백제: 자외선 조사 하에서의 형광 관찰 • 총용출량: 증발잔류물 측정법으로 분석
- 용출 조건: 식품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용출용매(물, 4% 초산, n-헵탄 등) 및 온도 조건 적용
- 분석 방법: 각 항목별로 규정된 전처리 및 기기분석 방법 준수
엘레멘트코리아 생분해도 시험 서비스 과정
엘레멘트코리아의 생분해도 시험 과정은 국제 표준 KS M ISO 14855-1에 따라 엄격하고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.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- 시료 준비
- 시험 대상 물질을 적절한 크기(일반적으로 5mm 이하)로 분쇄
- 수분 함량 및 휘발성 물질 함량 측정
- 총 유기 탄소 함량(TOC) 분석
- 퇴비 준비
- 성숙된 퇴비를 선별하여 2mm 체로 거름
- 퇴비의 pH, 수분 함량, 휘발성 고형물 함량, C/N 비 등 특성 분석
- 퇴비의 생분해 활성도 확인을 위한 예비 시험 수행
- 시험 장치 설정
- 온도 조절이 가능한 항온 반응기 준비
- CO2 포집 장치 및 측정 시스템 설치
- 공기 주입 장치 연결
- 시험 조건 설정
- 온도: 58 ± 2°C 유지
- 습도: 50-55% 유지
- pH: 7-9 범위 유지
- 공기 주입: 지속적으로 신선한 공기 공급
- 시험 수행
- 시료와 퇴비를 혼합하여 반응기에 투입
- 대조군(셀룰로오스) 및 음성 대조군(퇴비만) 동시 진행
-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CO2 양 측정 (일반적으로 매일 또는 격일)
- 수분 함량 모니터링 및 필요 시 조절
- 데이터 수집 및 분석
- 시간에 따른 누적 CO2 발생량 기록
- 이론적 최대 CO2 발생량 대비 실제 발생량 계산
- 생분해도(%) 산출: (실제 CO2 발생량 / 이론적 최대 CO2 발생량) × 100
- 시험 종료 및 보고서 작성
- 일반적으로 45일 또는 180일 후 시험 종료
- 최종 생분해도 계산 및 분해 곡선 작성
- 상세한 시험 조건, 방법, 결과를 포함한 종합 보고서 작성
- 품질 관리
- 주기적인 장비 교정 및 유지보수
- 표준 물질을 이용한 시스템 성능 검증
- 시험자의 숙련도 평가 및 교육
엘레멘트코리아의 생분해도 시험 서비스
- 국제 규격에 기반한 신뢰성 높은 분석
- 다양한 제품 및 원료에 대한 맞춤형 시험 설계
- 숙련된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결과 도출
- 환경표지인증 획득을 위한 종합적 지원
Find related Resources